My Early Life (Sard Al That)

296 나 자신의 이야기 (전반부) 26- 하디스는 이슬람의 예언자 무함마드 생전의 가르침과 행동을 모은 ‘언행록’이다. 27- 쿠피야는 아랍인들이 머리에 쓰는 사각형 모양의 두건이다. 때로는 머플러처럼 목에 두르기도 한다. 지역에 따라 구트라라고 부르기도 한다. 28- 라크아는 무슬림이 기도(살라)할 때 반복적으로 취하는 자세와 코란 낭송, 기도문, 찬양 등으로 구성된다. 새벽 기도에서는 두 번의 라크아를, 일몰 기도 때는 세 번, 정오와 오후와 저녁 기도 때는 네 번의 라크아를 행한다. 금요일 정오 예배에서는 두 번의 라크아를 하고 설교를 들은 다음 평일의 정오 기도처럼 네 번의 라크아를 행한다. 29- 루쿠으는 기도 중에 상체를 숙여 양손을 무릎에 대는 자세이다. 30- 수주드는 기도 중에 무릎 꿇고 코와 이마를 바닥에 대는 자세이다. 31- 마슈라비야는 아랍의 전통적인 발코니 양식이다. 보통 기하학적 문양으로 장식된 목재이며 발코니를 가려 강한 햇빛을 차단하고 환기는 가능하게 되어 있다. 32- ‘까임 마깜’은 아랍어로 다른 사람의 업무를 대리하여 관장하는 사람이란 뜻이며, 오토만 터키 시대의 직제이다. 젯다의 까임 마깜은 젯다 행정의 최고위직으로, ‘젯다 지사’로 이해할 수 있다. 33- 사하바는 생전에 예언자 무함마드를 만나 이슬람을 받아들이고 생사고락을 함께 한 사람들이다. 34- 우후드산은 메디나 북쪽 5킬로미터에 위치한 산이다. 이곳에서 625년에 이슬람 군대와 메카 꾸라이시 부족 간에 두 번째 전투가 벌어졌다. 35- 미까트는 순례자가 메카에 들어가기 전에 이흐람(순례 복장)

RkJQdWJsaXNoZXIy OTg0NzAy